SEMI, `24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 역대 최대치 기록 |
|
|
|
2025-01 |
|
|
전년대비 6.5% 성장한 1,390억달러(USD) 형성
전공정 및 후공정 모든 분야에서 `26년까지 성장세 지속
지난해 글로벌 반도체 제조 장비 시장규모가 역대 최대치를 갱신했다. 전공정, 후공정 모든 분야에서 성장세를 보여 `23년 대비 6.5% 성장한 1,130억달러(USD)의 규모를 형성했다.
SEMI(www.semi.org)는 지난 12월 ‘SEMICON Japan 2024’ 전시회의 ‘Year-End Total Semiconductor Equipment Forecast –OEM Perspective’ 프로그램에서 이같이 전망하고, 반도체 제조 장비 성장은 전공정과 후공정 모든 분야에서 지속되어 올해 1,210억달러(USD), `26년에 1,390억달러(USD)로 성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EMI 아짓 마노차(Ajit Manocha) CEO는 “연말의 통계치는 7월의 예상치를 웃도는 결과였다. 중국의 적극적인 장비 구매와 AI 시장의 성장세가 큰 동인이었다”고 밝혔다.
![](/photo/202501-ar7-1.jpg)
`23년 960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웨이퍼 팹 장비 부문(웨이퍼 처리, 마스크/레티클, 팹 설비 장비 포함)은 `24년에 5.4% 증가한 1,1010억달러(USD)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는 세미가 2024년 중반기에 발표한 980억달러(USD)보다 상향된 수치이다. 이러한 성장세는 AI를 위한 D램 및 HBM의 수요 증가세에 따라 장비 투자액이 확대된 것이 주된 요인이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대규모 투자 역시 팹 장비 매출의 성장세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첨단 로직 및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25년에 6.8%, `26년에 14% 성장하여 전체 시장규모가 1,23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한편, 2년 연속 위축세를 보였던 후공정 장비 부문은 지난해에 특히 하반기 들어 강한 회복세를 보였다. 반도체 테스트 장비 매출은 `24년에 13.8% 증가한 71억달러(USD)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어셈블리 및 패키징 장비 매출은 22.6% 증가한 4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후공정 부문 성장세는 가속화될 전망으로, 테스트 장비는 `25년에 14.7%, `26년에 18.6% 증가하며, 어셈블리 및 패키징 장비는 `25년에 16%, 2026년에 23.5%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고성능 컴퓨터(HPC)에 필요한 반도체 디바이스의 복잡성 증가와 모바일, 자동차, 산업용 시장에서의 수요 확대에 힘입어 후공정 부문의 성장세가 예상된다.
![](/photo/202501-ar7-2.jpg)
메모리 관련 설비 투자는 AI를 위한 HBM 수요 증가와 지속적인 기술 전환에 힘입어 `26년까지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낸드 장비 시장은 공급과 수요가 점진적으로 정상화되면서 `24년에는 0.7% 증가한 93억달러(USD)로 저성장이 예상되지만, 올해는 47.8% 늘어난 137억달러(USD), `26년에는 9.7% 증가한 151억달러(USD)로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c)SG미디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