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Cover Story 이 기사의 입력시간 : 2019-12-01 (일) 8:17:49
2019년 SMT생산설비 시장 REVIEW (칩마운터 編)
설비투자 긴축정책의 여파를 그대로 받은 마운터
2019-12  글 : 박성호 기자 / reporter@sgmedia.co.kr
목록 크게 작게 인쇄

노후설비 교체, 전기자동차, 반도체 패키징 등에서만 시장 형성
고속, 플렉시블성, 실생산성 높은 설비가 각광


2019년 칩마운터 시장은 상당히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해당 설비수요의 큰 고객군인 휴대전화, 백색가전 업체들의 대량 투자가 없었고, 전장/반도체 패키징 업체들도 설비투자에 보수적인 모습을 띠었다. 전반적인 분위기 하락이 예상되지만 신규 투자가 전망되는 곳도 있었다. 전기자동차, IoT, 통신인프라 설비 등의 업종에서 신규 마운터 설비 니즈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하고 마운터 업체들은 크게 관심을 기울였다. 마운터 업체들의 실생산성 증대, 범용성 확대 노력은 여전히 진행 중에 있다. 국내 임가공 업체들의 생산체질 변경에 따른 요구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동안 진행되었던 마운터 업체들간의 장착속도 전쟁은 이제 찾아보기 어렵다. 이제는 사용의 편의성, 유연성, 실생산성이 중요 영업 포인트가 되었다.
 

칩마운터 업체들의 한숨 소리가 커진 한해였다. 설비투자 성수기인 1사분기에 휴대전화를 포함한 일반 가전업종의 대규모 설비투자를 찾아보기 어려웠고, 전자산업 임가공 업체 전반에 걸친 ‘설비투자 긴축정책’ 기조가 이어진 탓이다.
2018년도는 마운터 업체들은 나쁘지 않은 실적을 기록했었다. 국내뿐만 아니라 중국 공장용으로 설비투자 건수가 다수 존재했었고, 베트남/인도 지역에서도 꾸준히 수요가 나타났었다. 휴대전화, 디스플레이, 자동차 전장, 반도체 등 다양한 업종에서 증설/교체용 신규 마운터 니즈가 꾸준하게 있었다. 그런데 지난해 하반기경부터 마운터 시장의 분위기가 하락하더니, 그 흐름이 2019년 상반기까지 이어졌다. 지난해 하반기의 투자위축 충격을 상반기에 여과 없이 그대로 받았다.
1사분기 마운터 업체들은 설비투자 시장이 너무 위축되어 있다고 말했다. 해당 시기에 국내에서 물량베이스의 투자 건은 한 손에 꼽을 정도이다. 일부 전장 관련 업체와 휴대전화 협력사들만 설비투자를 집행했었다. 이들을 제외하고 국내에서 5대 이상의 마운터를 투자한 임가공 업체는 찾아볼 수가 없었다. 마운터 업체들은 지난해 대비 30% 정도 시장이 줄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휴대전화 업종, 액세서리 중심의 설비투자 

휴대전화 업종에서는 무선 이어폰, 스마트와치 등의 휴대전화 액세서리 관련 업체들이 소소하게 설비투자를 단행하고 있다는 것으로 파악된다.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들이 무선 이어폰을 기본 스펙으로 책정한 후 관련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4사분기 전 세계 무선 이어폰 시장 규모는 약 1250만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다양한 신규 브랜드들의 무선 이어폰 시장진입이 관측되어 해당 시장의 급성장을 예상했다. 실제로 이와 관련한 최신 성능의 마운터 수요가 나오고 있다. A 업체 관계자는 “무선 이어폰에 2~3개의 RF통신칩 실장에 필요한 수요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마운터 업계에서는 순수 국내 시장에서의 노후설비의 교체, 베트남 지역의 라인투자 수요를 예상했다. 노후설비 교체는 이미 몇 년 전부터 형성되어 있는 시장으로, 임가공 업체들은 미세부품 대응, 생산물량 증대, 라인의 생산물종 다변화를 꾀하기 위해 단품 개념으로 설비를 바꿔왔다. 지난해에도 교체 수요가 마운터 시장을 이끌었고, 모든 마운터 업체들의 판매실적에 큰 비중을 차지했다. C 업체 관계자는 “순수 국내 시장은 라인증설용 보다는 교체 수요가 많았다. 인건비 절감 목적의 자동화설비 요구도 있지만, 여러 대의 마운터를 최신형 1~2대의 설비로 대체하는 수요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한 후, “고속기, 중속기, 이형기 등 5~6대의 마운터로 구축된 기존의 라인을 최신형 모델 2대만으로 동일 이상의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전체 라인축소, 작업자 인원 감소, 유지보수 편리성 등에서 확실한 이점을 누릴 수 있다는 점 때문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전기자동차, 반도체 패키징 ‘집중’

일반 SMT업종의 투자위축으로 칩마운터 업체들은 전장, 반도체 업종으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
국내 전장 업체들의 투자는 효율성 높은 최신형 설비 교체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고, 더 나아가 보드 다양화 전문화에 맞춘 라인 투자, 국내 신차용 신규 라인구축 목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마운터 업체들은 예상했다. 여기에 전장용 LED, 카메라, 센서 관련 신규 마운터 수요도 높게 보았다.
자동차 전장 업종 중에서도 마운터 업체들은 특히, 전기자동차용 생산라인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향후 SMT 임가공에 있어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완성차 업체들의 실적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자동차업체의 판매실적은 지난 2017년 대비 30% 정도 하락했다. SMT 관점에서 보면, 어마어마한 물동이 줄어든 셈이다. 전장 임가공 업체들이 국내 자동차 업체들의 매출 하락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서 내연기관 자동차용 SMT 물동량 하향세가 확연해 지고 있다. 1사분기에는 국내 대표적인 전장 EMS회사의 물동이 30% 정도 줄었다는 이야기가 나돌 정도였다. 올해 상반기에 중국 공장에서 소화되었던 물동이 한국 내로 들어와 그나마 라인 가동율이 올라갔다. 그러나 일시적인 현상으로 장기적으로는 다시 해외 공장으로 되돌아갔다.
국내 중소형 임가공 업체들의 전장용 SMT물동량 급감의 이유를 완성차 업체의 다기능 지원 정책에서 찾은 목소리도 나왔다. 올해 출시되는 신차부터 블랙박스 내장을 옵션으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전의 하이패스 룸미러 장착에 따른 중소업체의 물량 감소 현상이 이번에도 되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하이패스 단말기용 SMT물동이 대형 임가공 업체로 몰리는 현상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칩마운터 업체들은 수요처 감소로 인한 시장 축소를 염려하고 있다. C 업체 관계자는 “국내 제조업이 무너졌다. SMT물동량 축소로 절반에 가까운 업체들이 사라졌다. 임가공 업체들의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로 인해 중저속기의 보급형 모델보다는 중상위권 이상의 모델 수요가 늘어났다”면서, “다양한 물량을 소화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설비의 수요가 강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동차 전장, 전기자동차 중심 
칩마운터 업체들은 전기자동차 관련 설비수요가 점점 커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현재 5% 미만에 머물고 있는 보급률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설비투자 활성화도 기대하고 있다. 국내 대기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터컨트롤 보드용 설비투자를 단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외 공장 중심의 투자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와 비슷한 투자가 이뤄지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차, 커넥티드카 등 미래형 자동차의 등장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전장부품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원가에서 전장부품 비중은 40%를 넘었고, 특히 전기차는 70%를 차지했다. 시장조사업체인 Strategy Analytics에 따르면, 세계 자동차 전장부품 시장규모는 2015년 2,390억 달러에서 2020년 3,033억 달러로 급격한 성장이 예상된다.
전기자동차에 들어가는 많은 전장보드 그리고 늘어난 SMD 점수로 인해 칩마운터 업체들은 최신형 설비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에 들어가는 전장용 보드의 수는 내연 자동차에 비해 2배~2.5배에 이른다. 더불어 하나의 보드에 장착되는 SMD 점수는 훨씬 많다. 생산라인의 SMT화 구축가능성이 높다. B 업체 관계자는 “배터리에서 전기를 발생시켜서 모터를 구동시키는 전기자동차는, 모든 움직임이 제어공학을 통해 통제되고 있어서 메인 보드 내에 SMT 점수가 늘어났다. 내연기관용 메인 보드의 점수가 300~400점이라면, 전기자동차용에는 15,000점이 들어간다”면서 “생산보드의 점수가 중요한 마운터 입장에서, 전기자동차용 임가공은 좋은 시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기자동차의 생산 점수 확대로 인해 일반 전장용과 다른 고속기 급의 마운터를 필요로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일반 전장보드에는 다양한 부품이 들어가고, 부품의 크기도 크다. 그래서 중고속기 급의 설비들이 주로 애용되었다. C 업체 관계자는 “전기자동차용 라인에서는 기존 중고속기가 지닌 안전율, 품질에 대한 검수 기능 등의 기능을 보유하면서 고속으로 실장하는 모델을 선호하고 있다”고 이전과 달라진 현재의 설비 선정 기준을 전했다.

0201m 양산돌입, 마운터 평가 불가피

반도체 패키징 업종들의 설비투자 이야기에 마운터 업체들은 귀를 집중하고 있다. 패키징 업체들이 SMT물량까지 소화하는 라인을 본격 구축하고 있으며, 적층되는 디바이스 種 수의 증가에 따라 구체적인 수요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SiP 라인공정에 대한 일부 업체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서 시장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E 업체 관계자는 “반도체 패키징, 전장 업종이 당분간 설비투자에 집중할 것으로 생각한다. 스마트폰, 대용량 서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SiP와 같은 패키지 부품이 늘어나고 있다. 반도체 패키징 업체들의 대응 설비니즈가 커지고 있어서 최신형 모델 니즈가 많아지고 있다”고 이유를 말했다.
최근 스마트폰 업체들은 최대한으로 공간 활용도를 끌어올리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배터리 용량을 늘려서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다양한 성능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여러 고성능 부품을 탑재하고 있다. 휴대전화 업체들은 소비전력 절감과 성능 향상, 다양한 기능 통합(More functionality), footprint 감소 및 Control system 비용 감소를 위해 패키지 부품을 실장하고 있다. SiP와 같은 패키지 부품은 새로운 구조로 설계가 가능하고, 휴대전화의 효율, 성능, 기능 통합에 최적화되어 있다. 패키지 부품을 통해, 휴대전화 업체들은 제품 다변화를 가져가려고 한다. 소비전력 및 크기 감소, 성능 개선에 따른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고, Functionality & Features 등 복잡한 성능을 충족시킨다. 암코의 자료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 따른 패키지의 트렌드도 변하고 있다. 경박단소화가 강해지고 있으며, CSP(Chip Size Packaging)에서 다시 Stacked Die, POP로 발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들은 수율이 좋은 웨이퍼레벨패키징 기술을 개선하고 있다. 더불어, 반도체 패키징 업체들은 지난 몇 년간 양산체제 구축에 조금씩 힘을 기울여 왔다. 현재 적층 패키지의 사용처인 휴대전화용 디바이스, 통신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겨냥해 늘려왔다. 추가적인 라인증설 요구가 예상된다.

마운터들 실생산성으로 자웅 겨뤄 

요즘 마운터 업체들은 생산속도보다는 실생산성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SMT임가공 업체들의 생산구조가 소량다품종으로 변하고 있어서 이에 적합한 성능이 생산효율을 높이는 실생산성이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SMT 생산의 큰 축을 이뤘던 백색가전의 SMT점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OLED TV가 주력 상품으로 등극하면서 칩마운터의 수요도 줄어들었다. SMT 점수가 많았던 LED BLU와 달리 자체 발광특성으로 인해 필요성이 낮아졌다. 세탁기, 냉장고 등도 SMT점수가 별로 없다. 스마트홈 구축에 필요한 몇 종의 통신칩 추가가 이슈이지만 신규 칩마운터 수요를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 E 업체 관계자는 “고속으로 빠른 시간 내에 엄청난 양을 쏟아내는 시대는 끝났다. 생산 측면에서 SMT는 고점을 찍고 하향하는 시기이다”면서, “시대의 흐름에 맞춰 최근 출시되는 마운터 모델들은 생산속도 중심을 탈피한 기능들이 부각되고 있다. 이제는 편리하게 다각적으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신뢰성이 높은 마운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반도체 기술의 고도화도 SMT 점수 감소의 한 이유이다. 멀티칩이나 IC를 이용해 기존 저항부품들을 대체해 나가고 있다. 휴대전화에 실장되는 부품의 수가 절반 정도 줄어들었다. 이전 1,000점이 넘었는데, 최근에는 500~600점이 장착되고 있다. 장착 부품 수가 줄었음에도 성능은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물론 배터리 용량 증대를 위한 선택이기도 하다. 하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반도체 기술이 발전되면서 다기능화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생산속도 중심에서 실생산성 마운터가 각광을 받고 있다. 모든 마운터 업체들은 이전부터 이를 겨냥한 대응 모델들을 출시해 시장에서 자웅을 겨루고 있다.
 

[저작권자(c)SG미디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목록 크게 작게





100자평 쓰기
     
( Byte)
 
미디어정보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온라인문의
SG미디어 | 대표이사 : 강희명 | 사업자등록번호 : 119-10-75482
(08639) 서울시 금천구 시흥대로 97 | 전화 : 02-808-7411 팩스 : 02-808-7412
Copyright ⓒ SG미디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