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Cover Story 이 기사의 입력시간 : 2025-08-30 (토) 6:39:50
PoP 패키지의 ‘비틀림 하중’ 신뢰성 평가
2025-09  
목록 크게 작게 인쇄
하부 패키지에서 먼저 고장 발생
패드 크레터링은 잠재적인 안정성 문제

 

PoP(Package on Package) 패키지는 메모리 고밀도화가 필요한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PoP 기술의 큰 장점 중 하나는 하부 프로세서 칩에서 개별 패키지 메모리 칩까지 연결하는 고속 메모리 라인을 라우팅하는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 공정을 없앨 수 있다는 것이다. 프로세서 상단에 메모리가 위치하며, 조립 중에 연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PoP 기술은 휴대전화 및 기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광범위하게 채택되기 시작했다.
PoP는 One-pass 및 Two-pass 조립 공정을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One-pass 기술에서는 프로세서를 먼저 보드에 실장하고 메모리를 프로세서에 실장한 다음, 최종 보드를 단일 패스로 리플로우 오븐에 통과시킨다. Two-pass 기술에는 프로세서 위에 메모리를 먼저 실장하는 중간 공정이 포함된다. 그런 다음 이 두 부품을 캐리어 트레이에 놓고 리플로우한다. 이렇게 결합된 디바이스를 회로 보드 상에 장착하고 완성 보드를 두 번째로 리플로우한다.
Two-pass 기술은 X-Ray와 같은 비파괴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 조립 전에 PoP의 결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더 높은 수율을 기대할 수 있다는 확실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부 BGA와 상부 BGA에 각각 SAC105 및 SAC125 솔더를 사용하여 동일한 테스트 보드에 8개의 PoP 패키지를 조립하였다. One-pass 기법과 Two-pass 기법을 사용하여 각각 두 개의 테스트 보드를 조립하였다.
사용된 조립 방법이 기계적 피로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들 테스트 보드에 기계적 비틀림 하중 평가를 수행했다. 그런 다음 고장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고장 분석 작업을 수행했다. 고장까지의 시간(Time-to-failure) 데이터는 Weibull 2-파라미터 분포로 도식화하였고, ANOVA 분석을 적용했다. 두 가지 서로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조립된 패키지의 신뢰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PoP 기술에는 더 나은 밀도를 가능하게 하도록 두 개 이상의 패키지를 수직으로 적층하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PoP 패키지는 일반적으로 적층형 메모리 칩 또는 통합 메모리와 로직 칩으로 구성된다. 메모리 칩은 일반적으로 로직 칩 대비 더 적은 I/O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표준 구성에는 하부에 저 피치(고밀도)의 프로세서가, 상부에 고 피치(저밀도)의 메모리 칩(적층형 또는 다른 유형)이 사용된다. BGA 패키지는 높은 I/O 밀도와 신뢰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PoP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기존 PoP 패키지의 개략도가 그림 1에 나타나 있다.
PoP 기술의 확실한 장점 중 일부는 보드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프로세서와 메모리 칩 사이의 라우팅 및 전송 시간 단축, 낮은 노이즈의 전기적 성능 향상이다.[1] 그리고 이는 CSP와 달리 메모리와 로직 칩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한 다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양품’ 패키지만을 선별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oP 기술은 휴대전화 및 모바일 컴퓨팅 시장에서 빠르게 채택되고 있다.[4]



PoP는 One-Pass와 Two-Pass의 두 가지 기법을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One-Pass 기술은 인쇄 배선 어셈블리(PWA)를 스크린 프린팅한 후 하부 BGA 패키지를 배치한다. 그런 다음 상부 BGA 패키지를 디핑하고 하부 BGA 패키지에 올린다. 그 이후 단일 리플로우를 사용하여 패키지를 조립한다. 이 공정의 개략도는 그림 2에 나타나 있다. 이 방법은 메모리와 로직 칩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더 많은 물류 유연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5]



Two-Pass 기술에는 상부 패키지를 플럭스에 디핑하고, 캐리어 트레이의 하부 패키지에 적층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이 단계에서 패키지는 상부와 하부 패키지 사이의 솔더 연결을 만들기 위해 한 번 리플로우된다. 그 다음에 PWA를 스크린 프린팅하고 적층된 패키지를 배치한 다음에 보드와 패키지 사이에 솔더 상호연결을 만들기 위한 두 번째 리플로우 공정이 이어진다. 이 공정의 개략도는 그림 3에 나타나 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패키지를 적층한 후 X-Ray와 같은 비파괴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품질 관리 검사를 도입할 수 있다. X-Ray를 사용한 비파괴 테스트의 예가 그림 4에 나타나 있다. PWA에서 최종 조립되기 전에 상단 및 하단 BGA 사이의 상호연결 결함을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나은 보드 수율을 보장한다.[6]



JEDEC에서 규정한 바와 같이, 하부 패키지[7],[8]와 상부 패키지 핀아웃 구성에 패키지 외형 도면을 개략적으로 제시하여 패키지를 표준화하였다. 그러나 신뢰성 관점에서는 주로 낙하 테스트[9] 관련 문헌을 활용했고, 일부 연구에서는 열 신뢰성을 다뤘다.[2],[6],[11],[12],[13] 또한 리플로우 중 휨(warpage)을 특정하였다.[14],[15],[16],[17] 그러나 휴대전화와 모바일 컴퓨팅 분야의 PWA에서는 진동, 굽힘 및 비틀림과 같은 다른 유형의 기계적 하중과 종종 마주한다. 게다가 두 가지 서로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조립할 때 PoP 기술의 신뢰성 성능을 비교할 수 있는 문헌은 없다.
기계적 비틀림 테스트에서는 횡방향 인접 하중이 2단계 상호연결의 전단 하중을 초래하는 PWA 하중 실험을 포함했다. 기계적 비틀림과 관련하여 참고한 문헌은 PBGA(Plastic Ball Grid Array) 내의 보이드 신뢰성 평가[18], 무연 솔더 평가[19], 구리 표면 마감재 비교[20], 리볼링 및 솔더 페이스트 체적이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21]였다. 비틀림 테스트는 또한 노트북용 회로보드[22]와 휴대전화[23]용에서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하중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사용되었다. 현재 MDS 또는 비틀림 기반 테스트를 위한 표준화된 테스트 절차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비틀림 하중 하에서 PoP 기술의 보드 수준 신뢰성에 대해 탐구했다. 사용된 조립 기술의 영향과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또한 하부 패키지와 관련하여 솔더 페이스트 선택의 영향을 조사했다. 또한 고장 부위 및 고장 발생 메커니즘을 확인 및 결정하기 위해 고장 샘플에 대해 통계 분석을 수행했다. 고장 부위 분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성능 및 특성화된 고장이 조립 기술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했다. 다음 섹션에는 테스트 보드에 대한 세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은 테스트 설정에 대한 설명이며, 그런 다음 관련 오류 분석과 함께 결과를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론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 사용된 테스트 보드는 8″ × 4.5″ × 62mils 크기의 제품이었다. PWA 카드는 OSP 보드 마감 처리된 Polyclad 370HR 보드 라미네이트를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8개의 PoP 패키지가 1/4 보드 대칭으로 2개의 클러스터로 조립되었다. 12×12mm의 패키지 치수와 0.21mm의 패키지 라미네이트가 선택되었다. 구성의 상부 패키지는 18×18 볼 매트릭스에 128개의 패드가 있는 0.65mm 피치(주변형)의 BGA 패키지로 구성되었다. 하부 패키지는 23×23 볼 매트릭스에 0.5mm 피치(주변형)와 305개의 패드가 있는 BGA 패키지를 사용했다.
외부 클러스터의 패키지를 응력 레벨 I이라고 하고 내부 클러스터를 응력 레벨 II라고 한다. 응력 레벨 II에서 관찰된 변형률이 응력 레벨 I보다 약간 더 높으므로 응력 레벨 I에 실장된 부품이 응력 레벨 II의 부품보다 오래 지속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응력 레벨이 표시된 테스트 보드는 그림 5에 나타나 있다.



사용된 PoP 부품에는 테스트 중에 지속적인 저항 모니터링을 허용하는 3개의 데이지체인 네트가 있다. 상부 패키지의 가장자리에 있는 12개 솔더 볼은 첫 번째 데이지체인을 형성했고, 상부 패키지의 나머지 솔더 볼은 두 번째 데이지체인을 형성했다. 상부 패키지에는 두 개의 데이지체인이 사용되었고 하부 패키지의 솔더 볼에는 단일 데이지체인이 사용되었다. 이는 패키지에서 첫 번째 고장을 경험하는 솔더 볼의 네트를 식별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앞서 언급한 2개의 조립 기술을 사용하여 테스트 보드를 조립했다. 상부 BGA 패키지를 조립하는데 사용된 솔더 페이스트는 SAC105(98.5%Sn + 1.0%Ag + 0.5Cu)였다. 이는 상부 패키지가 낙하 하중에 민감하고 문헌에 의하면 SAC105가 다른 高 은(Ag) 함량의 솔더 유형 대비 더 나은 충격 내구성을 갖는다고 강력히 제시하기 때문에 선택하였다. 하부 패키지는 더 많은 피로 하중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되므로 하부 BGA 패키지는 SAC125(98.3%Sn + 1.2%Ag + 0.5%Cu) 또는 SAC305(96.5%Sn + 3.0%Ag + 0.5%Cu)를 사용하여 조립하였다.
테스트 매트릭스에는 상부 및 하부 패키지에 SAC105 및 SAC125 솔더 페이스트 조합을 사용하여 One-pass 조립 기술 및 Two-pass 기술을 사용하여 조립된 테스트 보드로 구성되었다(2개의 테스트 보드 샘플 포함). 또한 2개의 테스트 보드는 One-pass 방법을 사용하여 조립되었지만, 하부 패키지 조립에는 SAC305 솔더 페이스트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 One-pass로 조립된 패키지는 ‘PoPxxx’라고 하고 Two-pass로 조립된 패키지는 ‘PrePoPxxx’라고 지칭하였다. 여기서 xxx는 하부 패키지의 솔더 구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PrePoP125는 상부 패키지에 SAC105 솔더, 하부 패키지에 SAC125 솔더가 사용된 Two-pass 조립 패키지를 말하며, PoP305는 상부 패키지에 SAC105, 하부에 SAC305 솔더 페이스트가 적용된 One-pass 조립 패키지를 의미한다.


테스트 설정에는 정적 플랫폼과 회전식 플랫폼을 사용하여 PWA의 비틀림 하중 테스트를 도입하였다. 회전식 플랫폼은 각 변위, 각 속도 및 각 가속도를 피드백하는 기능을 통해 회전 변위를 제어했다. PWA의 두께도 고려되었으며 회전축이 PWA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조정하였다. 이를 통해 피크-대-피크 보드 변형 및 평균 변형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1°/s의 각속도(angular velocity) 및 1°/s²의 각가속도(angular acceleration)에서 반복하중의 변형각(angular deflection) 4.5°를 선정하였다. 이것은 대략 50μstrain/초의 평균 변형률 속도에서 1000μstrain의 보드 전단 변형률로 해석된다.
테스트 설정에서 수행된 예비 유한 요소 분석 작업은 이전 작업[24]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유효한 결과를 위해 테스트 변수는 동일한 응력 수준 내에서만 비교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고장 기준은 IPC-9701[25]을 기반으로 했다. 5회 연속 사이클 동안 공칭 저항이 20% 증가하면 고장으로 규정하였다. 또한 패키지 구성의 특성을 고려하면 메모리 또는 로직 I/O의 오류와 상관없이 패키지의 기능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개의 네트 중 어느 하나에서 첫 번째 고장이 나타나면 모두 고장으로 규정하였다.
모든 테스트 보드는 100% 고장이 날 때까지 순환시켰다. 응력 레벨 I과 응력 레벨 II에서 PoP 부품에 인접한 각 보드에 두 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였다. 이는 변형 하중을 비교하고 향후 유한 요소 분석 작업(FEA)을 위한 참조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모든 데이지체인 네트의 저항을 모니터링하고 고장 데이터에 대한 사이클을 확인했다. 그런 다음 Weibull 2-파라미터 분포를 가정하여 고장 데이터를 도표화하였다. 패키지의 배치(응력 레벨)에 따라 데이터를 그룹화했다.
응력 레벨 I에서의 테스트 결과는 그림 7에 나타나 있다. 테스트 결과에 대해 ANOVA 분석을 수행했으며 One-pass와 Two-pass 기술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하부 패키지용 SAC125 및 SAC305 솔더 페이스트로 조립된 PoP 부품 사이에서 성능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패키지 적층으로 인한 강성 증가로 인해 하부 패키지의 솔더 변형이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유한 요소 분석(FEA)을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에서 볼 수 있듯이 응력 레벨 II에서도 일관된 결과가 나타났다.





또 다른 흥미로운 점은 패키지의 모든 첫 번째 고장이 하부 패키지의 데이지체인 네트에서 관찰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솔더 변형률이 하부 패키지의 솔더 조인트에서 최대임을 나타낸다.


저항 모니터링에서는 첫 번째 고장이 하부 패키지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파손 부위를 결정하고 테스트 보드를 비교하기 위해 파괴적 고장 분석을 수행했다. 그림 9에서는 응력 레벨 I에서 PoP125 부품의 E-SEM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테스트 보드는 18,200 사이클 동안 테스트되었으며 그림 10에 표시된 패키지는 6,399 사이클에서 고장이 발생했다. 모든 상호연결 고장은 하부 패키지의 두 번째 레벨 상호연결에서 관찰되었다. 크랙은 패키지-솔더 인터페이스에 있었다. 또한 패드 크레터링(pad cratering)의 여러 사례가 관찰되었다. 응력 레벨 I의 PoP305 패키지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E-SEM에서 관찰된 패드 크레터링의 예가 그림 10에 나타나 있다. PrePoP-125 패키지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패드 크레터링은 구리 패드와 트레이스 하부의 얇은 수지 내의 크랙으로 정의된다.[26] 문헌에서는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균열 메커니즘을 응집파괴와 접착파괴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있다. 수지 부위만을 따라 발생하는 파단을 응집파괴라고 하며, 수지와 유리섬유 번들 사이의 파단을 접착파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 패드 크레터링의 모든 사례는 응집파괴였다.
패드 크레터링 자체는 솔더 조인트의 전기적 결함이나 패키지의 기능 손실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러나 수지의 크랙으로 인해 PWA의 연결 트레이스에 오류가 발생하여 전기적 개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트레이스가 절단되지 않았거나 패드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도 기본 라미네이트의 크랙은 신뢰성 문제의 원인이다.[27]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는 기술로 언더필 사용이 제안되고 있다.[28]



그러나 연구의 목적은 조립 기술의 선택이 PoP 조립체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장 사이트 분포를 이해하고 조립 기술과 솔더 선택을 비교하기 위해 부품의 염료 침투 및 분리 분석(Dye & Pry analysis)을 수행하고, 다양한 고장 사이트 분포를 비교했다. 그 다음에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각 고장 사이트의 발생 수에 대한 문서화와 정규화를 수행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그림 11과 그림 12에 나타나 있다.
조립 기술의 변화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분포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솔더 페이스트의 변화도 고장 사이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개 네트의 첫 번째 고장에 대해 부품이 테스트되었으므로, 고장이 없는 PoP 조립체의 상부 패키지에 있는 볼의 수가 높은 편이다. 우리는 또한 중간 라미네이트에서 패드 크레터링 또는 트레이스 고장의 사례를 관찰하지 않았고 대신 PWA에서만 관찰했다. 부품-솔더의 인터페이스는 모든 샘플에서 관찰되는 가장 일반적인 고장 사이트이다.



PoP 기술에 대한 다양한 조립 기술을 비교하기 위해 기계적 비틀림 하중을 사용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하부 패키지가 PoP 조립체에서 항상 먼저 고장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oP 기술의 경우, 기계적 비틀림을 받는 하부 패키지의 솔더 상호연결에 증가된 Ag 함량이 내구성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oP용 솔더 유형 또는 조립 기술 사이에서 고장 분포 경향의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패드 크레터링은 잠재적인 안정성 문제로 확인되었다. 응력을 균일하게 재분배하고 트레이스 고장을 방지하려면 언더필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 References
1. Carson, F., “POP Developments and Trends,” Proceedings IMAPs Device Packaging Conf, Scottsdale, AZ, Mar. 2006.
2. Lenihan, T.G., Jan Vardaman, E., “Worldwide Perspectives on SiP Markets: Technology Trends and Challenges”, ICEPT '06.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Packaging Technology, vol., no., pp.1-3, 26-29 Aug. 2006.
3. Menon, A.R., Karajgikar, S., Agonafer, D., “Thermal design optimization of a package on package” Semiconductor Thermal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mposium, SEMI-THERM 2009. 25th Annual IEEE, vol., no., pp.329-335, 15-19 Mar. 2009.
4. Kada, M. and Smith, L., “Advancements in Stacked Chip Scale Packaging (S-CSP) Provides System in a Package Functionality for Wireless and Handheld Applications,” Pan Pacific Microelectronics Symposium, 2000.
5. Sjoberg, J.; Geiger, D.A., Shangguan, D., “Process development and reliability evaluation for inline Package-on-Package (pop) assembly”, Electronic Components and Technology Conference. ECTC 2008. 58th, vol., no., pp.2005-2010, 27-30 May 2008.
6. McCormick, H., Sterian, I., Chow, J., Berry, M., Trudell, J., and Cortero, R., “PoP: An EMS perspective on assembly, rework and reliability”, SMTA Pan Pacific, vol. 9, no., 3, Feb. 10 - 12, 2009.
7. JEDEC JC-11 Committee, JEDEC design standard design requirements for outlines of solid state and related products, JEDEC publication 95, Design guide 4.2.
8. Dreiza, M., et al., “Stacked Package-on-Package Design Guidelines”, International Wafer Level Packaging conference, 2005.
9. Jing-en Luan, “Design for Improvement of Drop Impact Performance of Package-on Package”, Electronics Packaging Technology Conference. EPTC 2007. 9th, vol., no., pp.937-942, 10-12 Dec. 2007.
10. Lai, Yi-Shao, Yeh, Chang-Lin, Wang, Ching-Chun, “Examination of board-level drop reliability of package-on-package stacking assemblies of different structural configurations”, Microelectronic Engineering, vol. 84, no. 1, pp. 87-94, Jan 2007.
11. Wang, V., Maslyk, D., “Analysis of the reliability of package-on-package devices manufactured using various underfill methods,” ICEPT-HDP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Packaging Technology & High Density Packaging, vol., no., pp.1-3, 28-31 Jul. 2008.
12. Lee, Joon-Yeob, Hwang, Tae-Kyung, Kim, Jin-Young, Min Yoo, Sohn, Eun-Sook, Chung, Ji-Young, Dreiza, M., “Study on the Board Level Reliability Test of Package on Package (PoP) with 2nd Level Underfill, “Electronic Components and Technology Conference,. ECTC '07. Proceedings. 57th, vol., no., pp.1905-1910, 29, May- 1, Jun. 2007.
13. Hwang, Tae Kyung, Sohn, Eun Sook, Kang, Won Joon, Cha, Se Woong, Lee, Joon Yeob, Hwang, Chan Ha, Lee, Choon Heung, “Board level reliability assessments of package on package", EMAP 200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Materials and Packaging, vol., no., pp.1-7, 19-22 Nov. 2007.
14. Vijayaragavan, N.; Carson, F.; Mistry, A., “Package on Package warpage - impact on surface mount yields and board level reliability,” Electronic Components and Technology Conference, ECTC 2008. 58th, vol., no., pp.389-396, 27-30 May 2008.
15. Zhao, J, Luo, Y., Huang, Z., Ma, R., “Effects of package design on top PoP package warpage”, Electronic Components and Technology Conference, ECTC 2008. 58th, vol., no., pp.1082-1088, 27-30 May 2008.
16. Carson, F.; Seong Min Lee; Vijayaragavan, N., “Controlling Top Package Warpage for POP Applications”, Electronic Components and Technology Conference, ECTC '07. Proceedings. 57th, vol., no., pp.737-742, May 29 2007-June 1
2007.
17. Hao Tang; Nguyen, J.; Zhang, J.; Chien, I., “Warpage Study of a Package on Package Configuration,”, HDP '07. International Symposium on High Density packaging and Microsystem Integration, vol., no., pp.1-5, 26-28 June 2007.
18. Yunus, M.; Primavera, A.; Srihari, K.; Pitarresi, J.M., “Effect of voids on the reliability of BGA/CSP solder joints,” Electronics Manufacturing Technology Symposium, Twenty-Sixth IEEE/CPMT International , vol., no., pp.207-213, 2000.
19. Ryan, C.; Punch, J.; Rodgers, B., “A reliability evaluation of lead-free ball grid array (BGA) solder joints through mechanical fatigue testing,”, EuroSimE 2005.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rmal, Mechanical and Multi-Physics Simulation and Experiments in Micro-Electronics and Micro-Systems, vol., no., pp. 436-440, 18-20 April 2005.
20. Yee, S., Ladhar, H., “Reliability comparison of different surface finishes on copper,” Circuit World, vol., no., 25 no.1, pp. 25-29, 1999.
21. Maia Filho, W.C.; Brizoux, M.; Fremont, H.; Danto, Y.,“Torsion test applied for reballing and solder paste volume evaluation,” 18th European Symposium on Reliability of Electron Devices, Failure Physics and Analysis Microelectronics reliability, vol. 47, no. 9-11, pp. 1663-1667, Sept.-Nov. 2007.
22. Haiyu Qi; Qian Zhang; Tinsley, E.C.; Osterman, M.; Pecht, M.G., “High Cycle Cyclic Torsion Fatigue of PBGA Pb-Free Solder Joints,” IEEE Transactions on Components and Packaging Technologies, vol.31, no.2, pp.309-314, Jun. 2008.
23. Kunal Goray, “Durability of Surface Mount Assemblies Under Flexural Loads”, MS Thesis,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2001.
24. Srinivas, V., Al-Bassyiouni, M., Osterman, M., Pecht, M., “Characterization of lead-free solder interconnects reliability under torsional loads”, ASME International Mechanical Engineering Congress and Exposition, 2009.
25. IPC, IPC-9701 “Performance Test Methods and Qualification Requirements for Surface mount Solder Attachments”, IL, Jan, 2002.
26. C.F. Coombs, Printed circuits handbook, McGraw-Hill (2001).
27. Roggeman, B.; Borgesen, P.; Jing Li; Godbole, G.; Tumne, P.; Srihari, K.; Levo, T.; Pitarresi, J., “Assessment of PCB pad cratering resistance by joint level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Technology Conference, ECTC 2008. 58th, vol., no., pp.884-892, 27-30 May 2008.
28. Schueller, R., Ables, W., and Fitch, J. “A Case Study for Transitioning Class A Server Motherboards to Lead-Free”, SMTA International, August 2008.
 
[저작권자(c)SG미디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목록 크게 작게





100자평 쓰기
     
( Byte)
 
미디어정보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온라인문의
SG미디어 | 대표이사 : 강희명 | 사업자등록번호 : 119-10-75482
(08639) 서울시 금천구 시흥대로 97 | 전화 : 02-808-7411 팩스 : 02-808-7412
Copyright ⓒ SG미디어 All rights reserved.